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아침식사
- 시댁인사선물
- 차를맛보는여인
- 누텔라
- 줄리엣장미
- 카누 바리스타 #카누캡슐 #카누캡슐머신
- 청소할 때 듣기 좋은 음악
- 랜덤하우스코리아
- 양키캔들
- 프라하
- 비엔나 호텔
- 아몬드 핸드네일
- 계란 샌드위치
- 부케
- 엔드노트 스타일
- 달과 6펜스
- 마이클 코넬리
- 책 읽을 때 듣기 좋은 음악
- 스모키파피
- 해리 보슈
- 카를교
- 빈 신혼여행
- 줄리엣로즈
- 아르센 뤼팽
- 모짜르트 초콜렛
- 황금가지
- 꽃다발
- 엔드노트
- 청정원 로제 소스
- 모스크바의 신사
- Today
- Total
달콤 쌉싸름
장미의 이름 - 움베르토 에코 본문
누구나 한 번 이름은 들어봄직한, 그리고 영화로도 제작 된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을 읽었다. 그렇지만 결코 쉽지 않아서 책 읽는데 두달은 걸린 것 같다. (중간 중간에 다른 책을 읽기도 했다.)
추리소설이지만 그 안에 많은 역사적이고 종교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서 그렇다.
(늘 그렇듯이 열린책들 책은 참 예쁘다 ㅎㅎ)
장미의 이름은 아드소라는 수도사가, 본인이 견습이었을 때 겪었던 사건들을 회고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미스테리한 일이 일어나는 수도원에 명망이 높던 스승인 월리엄을 따라가서 그 실체가 밝혀지는 7일간을 시간의 순서대로 상세하게 기술 하였다. 이런 형식은 셜록홈즈나 뤼팽에서 주인공을 찬양하면서 진실을 알고 있는 조력자가 사건에 대해 설명해주는 형식과 비슷하였다. 그리고 각 챕터 마다 아래 사진처럼 그 챕터를 요약한 내용이 있다. (이 요약이 책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이해하기 쉬운 책은 아니었다. 그냥 흥미로운 추리소설이 아니라 종교 계파에 대한 내용이 심도 있게 나왔으며 어쩐일인지 나오는 등장 인물들의 이름이 읽어도 읽어도 잘 익숙해지지 않았다. 수도원이라는 한정적이고 특수한 공간안에서 일어나는 연쇄 살인사건과, 그렇게까지 해서 지켜야할 책에 대한 내용은 궁금증을 자아내기 충분했다.
예전에 영화로 나왔다는데, 영화는 좀 더 이해하기 쉬울 듯 하다. 기회가 되면 영화를 한 번 찾아보고 싶다.
*제목이 왜 장미의 이름인가?
책에 장미는 단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왜 하필 장미의 이름인가? 움베르토 에코 자체도 이러한 질문을 많이 받았던 것 같다. 책의 마지막에 후기처럼 써놓은 글에서 그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하지만 온전한 설명은 아니고 독자에게 맡긴다 <-이런식의 글이었다. 아무튼 장미의 이름에 대한 제목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었다.
우리에게서 사라지는 것들은 그 이름을 뒤로 남긴다. 이름은, 언어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존재하다가 그 존재하기를 그만둔 것까지도 드러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사진을 찍으면서 처음 깨달았는데, 상권과 하권의 표지가 다르다 ㅎㅎㅎ 두달이나 책을 읽었는데 처음 알았다.
내 이 세상 도처에서 쉴 곳을 찾아보았으되, 마침내 찾아낸, 책이 있는 구석방보다 나은 곳은 없더라.
우주라고 하는 것이 아름다운 까닭은, 다양한 가운데에도 통일된 하나의 법칙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통일된 가운데에서도 다양하기 때문일 수도 있는 것이라고 대답했다.
드러내는 데 명민하시되 (필요하다면) 덮어 두는 데 분별이 있어야 한다는 말씀이지요.
죽음은 나그네의 휴식, 모든 수고의 끝
진정한 배움이란, 우리가 해야 하는 것과 할 수 있는 것만 알면 되는 것이 아니야. 할 수 있었던 것, 어쩌면 해서는 안되는 것까지 알아야 하는 것이다.
진리는 때로 없을 수도 있습니다.
세상에 이단 아닌 것 없고 정통 아닌 것 없다. 어느 한 세력이 주장하는 신앙은 그리 중요하지 않아. 중요한 것은 그 세력이 약속하는 희망인 것이야. 모든 이단은 현실, 즉 소외의 기치와 같은 까닭이 여기에 있다.
나는 한 가지는 이해했다. 그는 자신이 죽음으로써 어떤 적도 이길 수 있다고 확신하는 사람이고 그래서 죽음을 선택했다는 것이었다.
나는 자연 현상에 관한 명상 안에다 나 자신을 풀어놓음으로써, 내 생각을 지우고, 있는 그대로 자연의 형상을 바라보고, 그 형상에 의지해서 나 자신을 잊으려 했다.
홍예문 벽에 새겨진 평화의 위대한 약속에 비겨 보면 내 고통이란 얼마나 하찮은 것이었던가
가난의 의미는 궁전을 가지고 있느냐, 가지고 있지 않으냐에 있는 것이 아니고, 이 땅의 일에 대해 다스릴 권리를 갖느냐 포기하느냐에 있는 것이다.
그때도 그랬고 그 뒤로도 그랬지만 나는 사랑하는 사람의 이름을 불러 본 바가 없다.
유용한 진리라고 하는 것은 언젠가는 버려야 할 연장과 같은 것이다
'나의 서재 >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참자 - 히가시노 게이고 (0) | 2015.09.30 |
---|---|
걸 온더 트레인 - 폴라 호킨스 (0) | 2015.09.29 |
아르센 뤼팽 전집2, 아르센 뤼팽 대 헐록 숌즈 - 모리스 르블랑 (0) | 2015.09.15 |
아르센 뤼팽 전집1, 괴도 신사 뤼팽 - 모리스 르블랑 (0) | 2015.08.19 |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 유시민 (0) | 201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