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빈 신혼여행
- 계란 샌드위치
- 책 읽을 때 듣기 좋은 음악
- 카를교
- 차를맛보는여인
- 부케
- 랜덤하우스코리아
- 스모키파피
- 모짜르트 초콜렛
- 프라하
- 청소할 때 듣기 좋은 음악
- 카누 바리스타 #카누캡슐 #카누캡슐머신
- 줄리엣로즈
- 줄리엣장미
- 해리 보슈
- 양키캔들
- 엔드노트 스타일
- 아침식사
- 누텔라
- 아몬드 핸드네일
- 청정원 로제 소스
- 비엔나 호텔
- 꽃다발
- 아르센 뤼팽
- 시댁인사선물
- 달과 6펜스
- 황금가지
- 모스크바의 신사
- 마이클 코넬리
- 엔드노트
- Today
- Total
목록Development (20)
달콤 쌉싸름
신장기능에 문제가 없는 사람에서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이 신혈류에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상황 (출혈이 있는 등)에서는 신장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이 만들어져서 사구체여과율(GFR)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신혈류를 늘려준다. 이런 상황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은 교감신경 활성화로 인한 혈관수축과 안지오텐신II로 인한 혈관수축을 줄여주어 신장이 허혈되는 것을 막아준다. 세포외액이 줄어들거나 스트레스 상황, 교감신경 활성화, 안지오텐신II 등으로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이 자극된다. 흔히 사용하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예를 들어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등)는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제하면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신장허혈 및 출혈성 쇼크 상태에서 위와 같은 약물을 투..
척추마취는 안전성, 경제성, 효과성 면에서 뛰어나서 굉장히 자주 사용하는 마취 방법이지만, 척추 마취를 하는 과정에서 경막천자(dural puncture)를 한 부위로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가 새어나오면 정상보다 뇌척수액의 압력이 줄어들게 되고 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생긴 두통은 병원입원기간을 지연시키거나 재입원을 고려해야할 정도로 심할 수 있다. 오심, 구토, 보는것이나 들리는 것에 불편감이 함께 생길 수 있고 앉아있거나 서 있을 때 더 심해질 수 있다. 경막천자후두통이 어느정도 발생하는가에 대해서는 문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총 환자의 0.1%~24%까지 보고되기도 했다. (보통은 3%로 생각하는 듯하다) 여성, 임신, 이전에 PDPH가 있었던 이력, 낮은 BM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QSyM/btqw8BoTeiI/hIuSwzGXhZZqHmIXfDj0KK/img.png)
논문을 검색하다가 이 논문을 쓴 저자가 어떤 연구들을 했는지 궁금해질 수도 있고, 혹은 공동연구를 하고 싶은데 어떤 분야로 연구를 많이 했는지 알아보고 싶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Scopus에서는 저자(author profile) 검색을 통해서 이 사람이 어떤 연구를 주로 해왔는지 연도별로 자료를 제공해준다. 그리고 이 사람이 쓴 논문이 얼마나 인용되었는지, 어떤 사람들과 공동연구를 해왔는지도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준다. Scopus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https://www.scopus.com/home.uri Scopus preview - Scopus - Welcome to Scopus × Scopus will soon cease the support of IE 9 and users are reco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i4KAf/btqw87ALWsh/1KEj7NLtkaQC7mKXpWriIk/img.png)
엔드노트가 편리하기는 하지만 참고문헌들이 엉키는 경우도 있고 무엇보다도 원고를 완전히 탈고한 후에는 엔드노트와의 연결을 끊어주는게 더 깔끔할 때도 있다. 워드파일과 엔드노트와 연결을 끊으려면 이렇게 하면된다. 워드 화면에서 EndNote X9 탭으로 간 후, Convert citations and bibilography를 선택해서 Convert to plain Text(마우스는 가리키는 곳)를 클릭해주면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경고창이 뜬다. 엔드노트와 연결된 것들을 없앤 새로운 카피 파일을 만들어 준다는 뜻이다. 확인을 누르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고 그 파일을 저장하면 된다. 원래 엔드노트와 연결 되어 있던 파일은 그대로 열려있고 바뀌지 않는다.
신장의 기본단위는 네프론신장의 기본단위는 네프론이다. 하나의 네프론은 사구체+보먼주머니(bowman's capsule)그리고 세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구체는 신장으로 들어왔던 수입세동맥으로 부터 나오고 수출세동맥으로 빠져나가는 모세혈관의 뭉치로 신장의 여과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다시 말해 혈액이 사구체를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고 여과액은 세관으로 이동하면서 원뇨가 된다. 어떤 사람의 사구체여과율 (GFR)은 이 사람이 가지고 있는 기능하는 모든 네프론에서 여과되는 양을 합한 것과 같다. 그래서 사구체 여과율은 신장기능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사구체여과율(GFR) = 1분간 사구체에서 여과되는 혈장의 부피 단위: ml/min 만약 어떤 사람의 사구체여과율이 떨어지는 추세라면 대개는 신장질환이..
CK MB는 임상에서 혈액을 이용하여 심근경색과 같은 허혈성 심질환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 CK MB는 주로 심근에 국한 된 효소로 심장 근육이 허혈로 인한 괴사성 손상이 일어나 세포막이 제 구실을 하지 못할 때 빠져나와 순환계로 들어간다. 환자가 심근경색으로 인한 흉통을 느낀지 3-6시간이 지난 후에 상승되어 나타난다. 하지만 CK MB는 심장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골격근, 소장, 자궁 및 전립선에도 소량 존재하기 때문에 혈액검사에서 상승된 소견이 보여도 다른 Cardiac marker(ex. troponin - 심근에 더 특이적이다)와 함께 평가해야 한다. 예를 들어 만성적인 근육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근이양증 (muscular dystrophy)나 횡문근 융해증(rh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jEVLB/btqwinrfMHV/97Byng0iFnS6AkW7zX5xKK/img.png)
이 책은 각 챕터에서 주인공처럼 등장하는 인물과 주제가 조금씩 달라지지만 그 내용들이 조금씩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한 챕터가 그리 길지 않아서 통계라는 어려울 수도 있는 주제를 다루면서도 덜 부담스럽게 읽을 수 있다. 내가 책에서 특히 마음에 남는 챕터들이 몇 개 있다. 26장은 울혈성심부전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저자는 먼저 특정질환에 대한 연구가 왜 필요한지 여러 측면에서 설명하고, 그 연구를 진행할 때 만나게 되는 변수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것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논리적으로 풀어나가서, 잘 쓰여진 한 편의 연구계획서를 읽는 느낌을 받았다. 논리적인 글쓰기를 하고 싶다면 참고하기 좋을 것이다. (실제로 나는 이번 학기에 연구계획서와 proposal을 쓸..
병원에서 많이 쓰이는 단위중에 하나인 gtt는 방울 수를 의미한다. 새롭게 바뀐 수액 세트를 사용하는 경우 1cc=20gtt, 즉 1cc는 20방울로 구성 되어 있다. 만약 수액 속도를 10gtt로 주는 것이라면, 1분에 10방울이 떨어지게 하면 된다. 자주 쓰이는 속도는 다음과 같다. 5gtt 12초에 1방울 10gtt 6초에 1방울 15gtt 4초에 1방울 20gtt 3초에 1방울 30gtt 2초에 1방울 그런데, fluid 속도의 경우에는 시간당 들어가는 수액의 양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서 10cc/hr의 속도로 수액을 줘야하는 경우에는 한시간에 10cc=200방울이 들어가야하는 것이고, 이는 1분에 약 3-4방울이 들어가야 한다. 이는 15-20초 사이에 한방울이 떨어지게 하면 된다..
벤쿠버 스타일을 이용하여 참고문헌을 정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APA 스타일은 다음 링크에 정리해 두었다. APA바로가기클릭 (1) 논문인용1. 본문Endothelium에서 NO가 분비 된다(1). →인용할 문구 뒤에 (숫자)로 기입한다. 괄호 모양을 [1]으로 하는 경우도 있는 모양이다. 숫자는 인용된 순서에 따른 숫자이다. 2. 미주 저자. 논문제목. 저널이름(약어). 출판년도;volume(issue):page 예시Beltowski J, Wojcicka G, Jamroz-Wisniewska A. Role of nitric oxide and endothelium-derived hyperpolarizing factor (EDHF) in the regulation of blood pressure..
DOI란 The Digital Object Identifie의 약자로,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 번호를 말한다. 우리가 출판한 저널등은 고유한 DOI 번호를 갖게 된다. 이를 통해서 인터넷 상의 주소 등이 바뀌는 경우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요즘에는 누구나 디지털로 자료를 접하기 때문에 논문을 쓸 때에도, 참고문헌에 DOI를 넣는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레퍼런스의 DOI를 첨부함으로서 디지털 학술정보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고, 검색의 효율성을 도모하며 인용을 더 활성화 할 수 있다. 엔드노트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첨부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라도, 내가 직접 DOI 주소를 검색하여 찾을 수도 있다. DOI를 직접 검색하는 경우 먼저 아래에 링크 된 사이트에 들어간다. DOI검색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