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아르센 뤼팽
- 달과 6펜스
- 줄리엣장미
- 엔드노트 스타일
- 마이클 코넬리
- 아몬드 핸드네일
- 줄리엣로즈
- 프라하
- 양키캔들
- 차를맛보는여인
- 누텔라
- 꽃다발
- 비엔나 호텔
- 해리 보슈
- 스모키파피
- 아침식사
- 책 읽을 때 듣기 좋은 음악
- 랜덤하우스코리아
- 청소할 때 듣기 좋은 음악
- 시댁인사선물
- 계란 샌드위치
- 모짜르트 초콜렛
- 모스크바의 신사
- 카를교
- 부케
- 황금가지
- 카누 바리스타 #카누캡슐 #카누캡슐머신
- 청정원 로제 소스
- 빈 신혼여행
- 엔드노트
- Today
- Total
달콤 쌉싸름
척추마취, 경막외마취 후 간호, 척추마취 후 침상안정, 두통 본문
척추마취는 안전성, 경제성, 효과성 면에서 뛰어나서 굉장히 자주 사용하는 마취 방법이지만, 척추 마취를 하는 과정에서 경막천자(dural puncture)를 한 부위로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가 새어나오면 정상보다 뇌척수액의 압력이 줄어들게 되고 두통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생긴 두통은 병원입원기간을 지연시키거나 재입원을 고려해야할 정도로 심할 수 있다.
오심, 구토, 보는것이나 들리는 것에 불편감이 함께 생길 수 있고 앉아있거나 서 있을 때 더 심해질 수 있다.
경막천자후두통이 어느정도 발생하는가에 대해서는 문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총 환자의 0.1%~24%까지 보고되기도 했다. (보통은 3%로 생각하는 듯하다)
여성, 임신, 이전에 PDPH가 있었던 이력, 낮은 BMI등인 경우 더 잘생길 수 있다고 보는 듯
경막천자후두통(Post dural puncture headache, PDPH)을 예방하기 위해 간호사는 환자가 척추마취를 이용한 수술 후 일정시간 동안 supine positon을 유지하도록 한다. (시간은 병원 프로토콜마다 조금 다를 수 있다. 4시간, 6시간 등)
경막천자 후 침상안정이 아직까지 표준이기는 하지만 실제 두통예방 효과가 있는가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어떤 연구에서는 두통 예방에 큰 효과가 없다고도 하고 어떤 연구에서는 두통이 발생하더라도 심각성은 줄여줄수 있다고도 한다. 아직까지 표준프로토콜이기에 지켜야 하지만, 효과 평가에는 더 신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Development >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기능저하 환자와 NSAID 약물 (프로스타글란딘의 역할) (1) | 2019.10.17 |
---|---|
사구체여과율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0) | 2019.07.31 |
CK MB (Creatine Kinase MB) - cardiac marker, Heart enzyme (2) | 2019.07.28 |
gtt(가트) 계산하기 (2) | 2015.10.05 |